‘우울 위험’은 30대 여자, ‘극단 선택’은 30대 남자 가장 많아
계속되는 코로나19 우울증
국민 5명 가운데 1명 ‘우울 위험 상황’

SBS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면서 국민 5명 중 1명은 여전히 우울 위험 상황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울감을 느끼고 극단적 선택까지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죠.

11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2월) 우울 위험군의 비율은 18.9%로 조사됐는데요.

뉴스토리

최다치였던 지난해 1분기(3월) 22.8%에서 3.9% 포인트 감소했지만, 지난해 3분기(9월) 18.5%보다는 0.4% 포인트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민들의 정신건강 수준이 개선되지 않은 것에 대해 복지부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지속되는 상황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는데요.

국내에서 코로나19는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령별로 살펴보았을 때,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예상되었던 6,70대가 아니라 다름 아닌 30대였는데요.

12월 30대 우울 점수는 6.4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은 60대 이상(4.2점)의 1.5배나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우울 위험군 비율은 27.8%로 60대(13.8%)의 2배 수준이었습니다.

SBS

특히 30대 여성의 우울 점수(7.0점)와 우울 위험군 비율(33.0%)은 모든 성별과 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자살 생각 비율도 30대가 18.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요. 30대에 이어 20대가 17.3%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30대 남성의 자살 생각 비율은 22.4%로 전 성별·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그리고 심리적 어려움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 또한 우울 점수와 자살 생각 비율이 높은 30대가 13.6%로 가장 많았습니다.

연합뉴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증세는 점점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복지부는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정신건강 현황을 조사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 건강 서비스와 심리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전문가들은 경제적·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앞으로 단계적 일상 회복과 국민들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당장의 우울을 극복하기 위해 모두가 일상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함께 정서적 교류를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이슈 랭킹 뉴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예요
    0
    화나요
    1
    슬퍼요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