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씨 재산형성과정 의혹 제기
70억원 재산 중 출처 불분명 자금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배우자 김건희 씨의 재산 형성 과정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는 지난 19일 김건희 씨의 70억 원 규모 재산 중 출처가 불분명한 자금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죠.
더불어민주당 선대위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김건희 씨의 재산 관련 부동산등기부등본과 주식거래내역, 재산신고 내역 등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는데요.
이에 따르면 김건희 씨가 1991년부터 얻은 총 소득은 7억 7,000만 원 수준입니다. 하지만 김 씨가 2021년 신고한 재산은 약 69억 2,000만 원에 달하죠.
따라서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김 씨의 재산이 “확인된 소득과 경력 대비 추정 소득으로 봤을 때 어떻게 고액자산가가 됐는지 설명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 선대위 TF가 구체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김건희 씨의 재산 증식 과정은 세 단계로 나눠지게 됩니다. TF는 “그중 성인이 된 이후인 1990년대의 경우 주식투자로 사업 자금을 마련했다고 했는데, 학생 신분이었던 김 씨가 어디서 마련한 자금으로 주식에 투자했을지는 명쾌히 해석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죠.
또한 김건희 씨는 2000년부터 2011년 사이에 출강 이력이 대부분으로 수입이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김 씨는 이 시기에 서울 송파구와 서초구의 아파트를 매수했죠. TF는 해당 주택의 시세는 당시 각각 3억 원과 14억 원 대로 추정되는데, 어디서 들어온 돈으로 아파트를 매수했는지 해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김 씨는 2009년부터 코바나컨텐츠의 대표이사로 취임했지만 이 회사는 10년 이상 적자 상태에 있었고 대표이사 월급은 10년 동안 200만 원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김 씨는 같은 시기 도이치모터스 주식을 8억 원과 14억 원어치 두 차례에 걸쳐 매수했죠.
TF 상임단장은 “대학 강사료와 코바나컨텐츠 월급 200만 원이 주 수입원이었던 김 씨가 어떻게 30대에 수십억의 주식과 부동산을 매수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해당 기사에 대해 누리꾼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파도 파도 나오는 김건희’라고 비난하는 입장도 있었고, 반대로 ‘민주당도 파보면 마찬가지다’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