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증시 급락
주가 열흘간 -12% 기록한 사례
worldpress
최근 미국 증시 급락으로 미국 주식에 투자 중인 서학 개미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의 S&P 500 그래프를 역사적 주가 폭락 사건과 비교한 글이 화제가 되었다.
얼마 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역사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한 사례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게시글의 작성자는 미국 증시가 열흘간 마이너스 12% 넘게 빠졌던 사례가 몇 가지 있다면서, 경제 위기에 봉착했던 사건들을 언급했다. 미국 증시를 반영하는 주가지수로는 S&P 500과 다우 지수 등이 사용되었다.
미국 증시의 대폭락이 발생했던 대표적인 사건은 바로 미국 증시 역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으로 일컬어지는 1920~1930년대의 대공황 시기였다. 미국 경제의 거품 붕괴와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촉발된 대공황은 1929년 380 정도였던 다우지수를 3년 만에 41까지 추락시켰다. 당시 최고점 대비 주가 하락률은 89%에 달했다.
1932년 저점을 찍었던 미국 증시는 이후 완만한 상승을 보였으나 1937년 무렵 다시 한번 50%가 넘는 주가 하락을 맞이했다.
1939년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뒤에는 전시경제가 가동되어 미국 경제가 살아났지만 주가가 회복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다우지수가 대공황 이전 수준의 주가로 돌아오는 데는 약 25년의 세월이 걸렸다.
다음으로 미국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던 시기는 1987년 10월 19일 발생한 블랙먼데이를 빼놓을 수 없다. 홍콩 증시의 폭락으로 서구권에도 영향을 주었던 이 사건으로 인해 다우지수는 특별한 이유 없이 하루 만에 22%나 폭락했고 이후 주가 추가 하락으로 총 30% 가까이 떨어졌다.
또한 2007년~2008년 발생했던 금융위기 시기 역시 전 세계 경제를 뒤흔든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때 S&P 500지수는 1,500수준에서 600대까지 내려왔다.
가장 최근의 주가 폭락으로 말하자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직후 시기를 꼽을 수 있다. 2020년 2월 3,380을 찍었던 S&P 500 지수는 전 세계에 불어닥친 코로나 공포로 인해 한 달 만에 2,304까지 추락했다.
그러나 이후 전 세계 금융시장에 돈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주식 시장 역시 대호황을 이뤘고 S&P 500 지수 역시 4,796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2년 들어 미국 증시가 크게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S&P 500은 연속 하락을 기록해 1월 25일 기준 4,356을 기록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이에 대해 “지금이라도 남은 돈 다 올인해야 하나”처럼 매수 타이밍을 노리는 듯한 의견을 남겼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증시 전반에 악재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할 것을 주의했다.
호들갑 떨지마라! 별로 떨어졌다고 할 수 없다. 이전에 얼마떨어졌는지 공부하고 와라. 주식시장에서 20-30% 변동성은 자주 있었단다. 아직 20%도 떨어지지 않았다. 변동성 싫으면 주식시장 떠나라!
공감.!!
모두 판단력이 흐려 진 듯 합니다.
현제 사황 아나리스들 모르는 것 같아요.
역사에 이런 유사한 사건도 없었은데,
지난 과거를 들먹이는 것..?
2600을 지키는지 확인하고 투자하세요… 얼마까지 하락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6월까지는 쉬는게 정답이고 돈버는것 같다.
현제 사황은 아무도 몰라도.
다만 앞으로…
언제까지..
누구도 예측 할 수 없다는게 답인 것 같아요.
미국 유명 누구도 답이 없어 보입니다.
미국 FOMC 금리를 4번, 7번 말들이 만는데,
이게 웃기는 이야기죠.
왜 다들 금리 인상에 초점을 맞추나.??
왜 각기 다른 금리 인상 예측하나.??
여기에 키는 열쇠는 코로나 바이러스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몰라 해답이 없어.
또 한 불 확실성은 증시에 악영햐이 이어 진다는 맥락 이라 할 수 있죠.
여기에 지정확적 불한.
이것이 문제로 확대되고,
미국 개입.
오랜 지속.
증시 1/3 토막 날 수.!!
미국 증시는 끝났다고 봅니다.
저과 매수 절 대 하지 마시길.!!
미국 증시 현제 지표 잎올 20년 이후 다시 볼수 있을지..??
장기투자 & 우량주.
20년 가는 기업 얼마나.??
네들다죽었어 사기당한거임 ㅋㅋ
네들다죽었어 사기당한거임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