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보석’ 재산신고 누락 논란
6,200만 원짜리 목걸이 재조명
야당 “보석류는 왜 재산 신고 안했냐”
대통령실의 해명은?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가 착용했던 장신구에 대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목걸이 하나에 수천만 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온라인에서는 부럽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최근 김 여사가 착용했던 장신구가 재산 신고 내역에 빠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과연 어떤 내용일까.
이번에 논란이 된 것은 김 여사가 해외 순방 당시 착용했던 장신구 관련 문제다. 모두 값비싼 명품 귀금속류였는데 이 3점이 모두 재산 신고에 빠져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
최근 윤 대통령-김 여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3박 5일간 스페인에 방문했다. 김 여사는 한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는데, 프랑스 명품 브랜드 ‘반 클리프 앤 아펠’ 제품인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됐다.

이는 ‘스노우플레이크 펜던트’라는 이름의 목걸이로, 눈꽃 결정 형태에 착안해 디자인된 제품이다. 정품 가격은 무려 6,200만 원에 달한다. 백금과 다이아몬드가 재료로 사용된 제품이다. 디자인이 같은 라지 모델의 경우 가격이 1억 원이 넘는다고 한다.
이 외에도 김 여사는 나토 정상회의 동행 과정에서 국내 보석 스타트업 업체의 30만 원대 발찌를 착용했다고. 이 발찌를 김 여사는 직접 산 것으로 전해진다.
또 다른 공식 석상에서 반 클리프 앤 아펠의 200만 원대 팔찌, 까르띠에의 1,500만 원대 팔찌 등을 착용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최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김 여사가 나토 순방 때 착용했었던 목걸이와 팔찌가 고가라는 기사가 나왔던 것을 봤다. 재산 신고에 보석류는 안 했던데 확인했냐”고 대통령실에 질의했다.
그러자 대통령실 측은 “일부는 지인에게 빌렸고, 일부는 소상공인에게 샀다”는 취지의 설명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실은 “장신구 3점 중 2점은 지인에게 빌렸다. 1점은 소상공인에게 산 것으로 금액이 신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이에 대해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NS를 통해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보석류의 경우 500만 원 이상은 모두 재산 신고 대상”이라고 적었다.


이어 “저희 의원실에서 찾아보니 김 여사는 알려진 것만 해도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추정가 6,000만 원↑), 까르띠에 팔찌(추정가 1,500만 원↑), 티파니 브로치(추정가 2,600만 원↑) 등 최소 세 가지 이상의 신고 대상 보석을 소유하고 있었다”면서 “그렇다면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재산등록에서부터 신고 누락을 한 것”이라고 밝혔다.
여야의 공방이 이어지자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인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와 장신구 비용 전체를 비서실에서 추계해달라며 맞불을 놓기도 했다.
야당에서는 김 여사 장신구의 명확한 출처와 얼마에 빌렸는지 등 입증자료를 구체적으로 밝혀달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상태다.
비대위관련등 하지말아야 할일에 너무국민과 엇나가 있어
인기율하락과 관련 본연의 일을 국민의 뜻에 따르면 자연히 해결될일이지만 언론의지적에 대해서는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대강 해라 머눈에는
머밖에안보인다고하더만
니얘기냐?
멜다 킴
없으면말지 뭔 빌려서까지 끼고 걸고가나?
그래도 김정숙이 보다는 훨낫다.
완전 김치년
완전놀자판
이게 나라냐?
어떻게든 나쁜쪽으로 엮으려 하는 민주
고마해라.이젠 지겹다.일국의 영부인을
마녀사냥 하는거 부끄럽지도 않나?